1. 폭포 아래 첫 문장, 물소리에 깨어나다
경기도 연천의 재인폭포는 낙차 높은 물줄기와 함께 울림을 품은 공간이다. 단단한 바위 위로 쏟아지는 물소리는 그 자체로 하나의 리듬이며, 그 아래 서면 감각이 선명해진다. 그날, 나는 작은 노트 하나와 펜만을 들고 폭포 아래에 섰다. 바람에 흩날리는 물방울이 피부에 닿을 때마다, 단어 하나씩이 떠올랐고, 나는 무심히 첫 문장을 적었다.
“폭포의 낙수는 숨결이 되어 내 시를 흔들어 깨웠다.”
그 문장은 자연스럽게, 마치 폭포처럼 쏟아져 나왔다.
폭포는 말이 없지만, 끊임없이 울린다. 그 울림은 마음속 고요를 깨우고, 잠들어 있던 언어를 흔든다. 시인은 물방울 하나하나를 단어로 받아 적듯, 자연의 리듬에 몸을 맡긴 채 문장을 적기 시작한다. 그 순간 시는 단지 머리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몸 전체로 흘러나오는 감각의 흐름이 된다. 폭포의 리듬은 곧 문학의 리듬으로 바뀌고, 나는 그 물소리에 맞춰 첫 시구를 완성했다.
재인폭포는 단순한 경관이 아니라, 시가 깨어나는 장소다.
그곳에서 나는 내가 시를 쓴 것이 아니라, 시가 나를 통해 터져 나왔다는 느낌을 받았다.
자연이 먼저 문장을 불러내고, 나는 그것을 적는 존재일 뿐.
그날의 폭포는 내게 문학이란 감각을 여는 일이며, 자연의 울림이 언어가 되는 과정이라는 사실을 조용히 가르쳐주었다.
2. 글자에 담긴 물결, 낙엽과 노트 사이
폭포 옆 낙엽이 깔린 바위 위에 앉아 시인의 눈은 물결과 글자를 동시에 기록했다. 잔잔히 떨어지는 물살이 노트 위로 스며들 듯, 글자 하나하나가 물결을 타고 흘러갔다. “물줄기가 내 문장 위에 머물렀다 사라질 때, 문학은 비로소 눈에 보이지 않는 흐름이 된다.” 노트의 흔적은 단순한 기록이 아니라 자연과 언어의 융합이었다. 이 문단은 ‘자연의 흐름이 언어로 전환되는 순간’을 서정적으로 풀어냈다.
3. 숲 소리와 시심, 자연과의 공명
폭포 뒤로 이어지는 작은 숲길에는 물소리와 함께 숲의 숨결이 있었다. 매미 울음, 바람이 흔드는 잎사귀 소리, 바위 위 물방울의 파장까지 시인의 귀는 모든 소리를 언어로 환원하려 했다. “숲이 속삭이고, 폭포가 응답하듯, 나는 노트에 그 교향곡을 적었다.” 자연의 리듬이 시심을 건드릴 때 시는 태어나고, 공간은 문학적 공간으로 변한다. 이 문단은 ‘자연과 문학의 교감’이라는 키워드에 초점을 맞췄다.
4. 즉흥 시 낭송, 물방울 위 문학회
폭포 바로 근처에서 간단한 즉흥 시 낭송이 이루어졌다. 참여자들이 적은 시구를 한번씩 소리 내어 읽으며, “폭포가 내 시를 고개 숙여 듣고 있는 듯한 기분이 들었다”는 경험이 나왔다. 작은 시구가 골짜기를 타고 울렸고, 참석자들은 눈을 감고 물소리에 귀를 기울였다. 이 낭송회는 단지 문장은 읽는 것이 아니라, 공간을 울리며 해당 장소와 문학이 공명하는 시간이었다.
5. 여운으로 남는 문장, 삶으로 흐르는 물줄기
체험이 끝난 후, 참여자들은 각자의 노트에 적은 시구를 정리하며 말했다. “폭포 아래 한 줄 시가 내 마음을 진동시켰다”, “물이 문장이 되고, 시는 내 일상으로 흘러들었다”는 반응이 잇따랐다. “시인은 폭포 위를 걷고, 폭포는 시인의 노트를 흔들어 글을 불렀다”는 한 문장은 그 연대의 핵심을 표현했다. 문학 체험은 장소에 그치지 않고, 삶 속으로 이어지는 작은 강이 되었다.
'소도시 문화 탐방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성 김좌진 생가에서 들려온 묵은 소설의 숨결 (4) | 2025.08.14 |
---|---|
제천 의림지, 고요한 수면 위의 사유 한 조각 (3) | 2025.08.13 |
논산 은진미륵과 골목 시집 한 권: 시간의 숨결을 품은 문학여정 (4) | 2025.08.11 |
함평 나비축제 속 문학 체험 프로그램 리뷰 (4) | 2025.08.10 |
논산 은진미륵과 골목 시집 한 권: 시간의 숨결을 품은 문학여정 (5) | 2025.08.08 |